맨위로가기

예술가의 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술가의 똥은 이탈리아의 예술가 피에로 만초니가 1961년에 제작한 작품으로, 4.8 x 6.5cm 크기의 90여 개의 깡통에 작가의 똥을 넣어 밀봉한 것이다. 깡통에는 "예술가의 똥, 정량 30그램, 신선 보관됨, 생산 밀봉 일자, 1961년 5월"이라는 문구가 여러 언어로 적혀 있으며, 작가의 서명과 고유 번호가 매겨져 있다. 이 작품은 예술 생산과 인간 생산의 관계, 예술 작품의 가치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카를 마르크스의 상품물신주의와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 개념과 연관되어 해석된다. 만초니는 생전에 이 작품을 거의 판매하지 않고 친구나 다른 예술가에게 선물했으며, 사후에 미술 시장에서 활발하게 거래되기 시작하여 높은 가격에 판매되었다. 캔의 실제 내용물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있으며, 개봉하면 예술품으로서의 가치를 잃게 되므로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작품 - 콘라트 슈만
    콘라트 슈만은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중 서베를린으로 탈출한 동독 군인으로, 냉전 시대의 상징이 되었으며, 이후 우울증을 겪다 1998년 자살했고, 그의 탈출 사진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1961년 작품 - 오드리 헵번의 블랙 지방시 드레스
    오드리 헵번의 블랙 지방시 드레스는 위베르 드 지방시가 디자인하고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에서 헵번이 착용하여 패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리틀 블랙 드레스'의 전형으로 자리 잡은 상징적인 의상이다.
  • 똥을 소재로 한 작품 - 아치와 씨팍
    2006년 개봉한 조범진 감독의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아치와 씨팍은 에너지가 고갈된 미래 도시에서 배설물을 에너지원으로 삼는 사회의 불량배 콤비가 특별한 능력을 가진 이쁜이를 만나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SICAF 그랑프리 등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똥을 소재로 한 작품 - 강아지똥
    강아지똥은 권정생 작가의 동화로, 버려진 강아지 똥이 민들레의 거름이 되어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이야기를 통해 생명의 소중함과 가치를 감동적으로 그려내며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이다.
  • 개념 미술 - L.H.O.O.Q
    《L.H.O.O.Q.》는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 작품으로, 엽서 크기의 《모나리자》 복제본에 콧수염과 턱수염을 그려 모나리자의 상징성과 전통 예술에 대한 공격을 표현한다.
  • 개념 미술 - 플럭서스
    플럭서스는 1962년 조지 마키우나스가 시작한 전위 예술 운동으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고 기존 예술을 비판하며, 백남준 등 여러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관객 참여를 유도하는 독특한 형식을 사용했다.
예술가의 똥
기본 정보
피에로 만초니 - 예술가의 똥 (1961)
피에로 만초니 - 예술가의 똥 (1961)
원어 제목Merda d'artista
작가피에로 만초니
제작 연도1961년
종류예술가의 여러 작품
무게30g
크기4.8 x 6.5 cm
인용문예술가의 똥

2. 상세

Contents 30 gr net
Freshly preserved
Produced and tinned
in May 1961예술가의 똥
정량 30g
신선 보관됨
생산 밀봉 일자
1961년 5월


2. 1. 제작 배경

본 작품을 제작할 당시 만초니는 인간의 산물과 예술의 산물(즉 예술품)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작품을 만들고 있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다른 예로는 자신의 숨을 풍선 안에 불어넣어 제작한 연작 시리즈인 <예술가의 숨> (Fiato d'artistait)을 들 수 있다. 한편으로 이 작품을 제작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통조림 공장을 운영한 아버지가 아티스트였던 아들을 두고 "네 작품은 똥이야"라고 말했던 것이라는 이야기도 전해진다.[15]

만초니는 1961년 12월 친구 벤 보티에에게 보낸 편지에서 제작 의도를 다음과 같이 암시했다.

>"나는 모든 예술가들이 자신의 지문을 팔거나, 누가 가장 긴 선을 그릴 수 있는지 시합을 하거나, 자신의 똥을 깡통에 담아 팔기를 바란다. 지문은 받아들여질 수 있는 유일한 개성의 표시다. 수집가들이 예술가에게 친밀하고 진정으로 개인적인 것을 원한다면, 예술가의 똥이 있다. 그것은 정말 그의 것이다."[12][1]

이는 예술가의 개성과 진정한 개인성, 그리고 이를 상품화하려는 미술 시장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만초니의 또 다른 친구였던 엔리코 바이는 이 작품이 "예술계와 작가, 예술비평에 대한 반항적 조롱 행위"라고 평가했다.[13][2]

<예술가의 똥>은 카를 마르크스의 상품물신주의 개념과 마르셀 뒤샹레디메이드 개념과 연관 지어 해석되기도 한다.[15][14][7][3]

2. 2. 해석

만초니는 이 작품을 제작할 당시 인간의 산물과 예술 작품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고 있었다. 자신의 숨을 풍선에 불어넣은 《예술가의 숨》(Fiato d'artistait) 연작도 이 시기의 작품이다. 한편, 통조림 공장을 운영하던 아버지가 아들 만초니에게 "네 작품은 똥이야"라고 말한 것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15]

1961년 12월 만초니는 친구 벤 보티에에게 보낸 편지에서 제작 의도를 엿볼 수 있는 글을 남겼다. 그는 "온 예술가들이 자기 지문을 팔았으면 해. 아니면 누가 제일 긴 선을 그리는지 누가 자기 똥을 담은 캔을 파는지 겨뤄보는 대회를 열든 해야지. 자기 개성을 나타낸 수단 중에서 인정받는 건 지문뿐이야. 수집가들이 예술가의 은밀한, 정말 사적인 걸 사고 싶다면 그 예술가가 싼 똥이나 사라지. 그게 진짜 그 사람 것 아니겠나"라고 썼다.[12][1]

만초니의 친구였던 엔리코 바이는 이 작품이 "예술계와 작가, 예술비평에 대한 반항적 조롱 행위"라고 평가했다.[13][2] 《예술가의 똥》은 카를 마르크스의 상품물신주의 개념과 마르셀 뒤샹레디메이드와 관련하여 해석되기도 한다.[15][14][7][3] 이 작품은 예술 작품의 가치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예술가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2021년 9월, 영국 젊은 예술가들 (YBA) 그룹의 작가 개빈 터크는 자신의 소변을 깡통에 담아 은의 무게만큼 가격을 매겨 판매하는 《예술가의 오줌》이라는 작품을 선보이기도 했다.[4]

3. 거래

만초니는 작품 가격을 캔 속에 든 대변 30g과 같은 무게의 가격으로 책정했는데, 이는 1961년 당시 약 37USD에 해당했다.[15][7] 그러나 그는 생전에 이 작품을 시장에 거의 내놓지 않았다.

1963년 만초니가 사망한 이후, 《예술가의 똥》은 이탈리아, 파리, 미국 등지의 미술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기 시작했으며, 작품의 가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상승하여 만초니가 처음 책정한 가격을 훨씬 뛰어넘었다. 2016년 밀라노의 한 경매에서는 캔 하나가 27.5만유로에 낙찰되어 최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17][6]

3. 1. 캔의 보존 상태

1963년 만초니 사망 이후, 작품은 이탈리아, 파리, 미국 등지의 미술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기 시작했다. 총 90개의 깡통 중에서 만초니의 유가족이 소장한 5개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전 세계 각지의 현대미술 컬렉션으로 퍼져나가 보존되고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일부 캔은 가스가 새어 나오거나 부식되어 손상되기도 했지만, 손상되지 않은 대부분의 캔은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07년 5월 23일 소더비 경매에서는 캔 하나가 12.4만유로에 거래되었고,[16] 2008년 10월 같은 경매에서는 83번 캔이 97250GBP에 팔렸다. 2016년 8월 밀라노 아트옥션에서는 한 캔이 27.5만유로에 낙찰되어 당시 거래가 신기록을 세웠다.[17]

4. 내용물

만초니의 친구였던 예술가 아고스티노 보날루미는 캔 안에 든 것이 이 아니라 회반죽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18][8] 캔 자체가 (또는 강철)로 만들어져 있어 엑스레이나 스캔 검사만으로는 내용물을 판별하기 어렵고, 캔을 개봉하면 예술품으로서의 가치를 잃게 되기 때문에 《예술가의 똥》 속에 담긴 실제 내용물은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19][9]

1989년 마르세유 로저 페아스 갤러리에서 작품을 전시할 당시, 프랑스 예술가 베르나르 바질은 '피에로 만초니의 열린 캔'(Boite ouverte de Piero Manzonifra)이라는 제목으로 캔 하나를 부분적으로 개봉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15] 캔 속에는 솜이나 종이 등으로 포장된 작은 캔 하나가 더 들어 있었던 것으로 묘사되지만[15][7][10], 바질은 내용물을 완전히 꺼내거나 더 개봉하지는 않았다. 다른 캔이 폭발했을 때도 비슷한 내용물이 나왔다는 소문도 있다.[15]

1994년에는 덴마크의 예술품 수집가 욘 후노브(John Hunov)가 란데르스의 한 미술관에 작품 보관을 의뢰했는데, 미술관 측이 작품을 다소 높은 온도에 보관하는 바람에 내용물이 새어 나오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후노브는 미술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이 사건은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결국 미술관 측이 수집가에게 25만덴마크 크로네를 보상하기로 합의하면서 마무리되었다.[20][11]

참조

[1] 서적 Piero Manzoni: Catalogue raisonné
[2] 서적 The Art Instinct: Beauty, Pleasure, and Human Evolu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07-01
[3] 서적 Work Ethic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4] 웹사이트 Gavin Turk On Selling Cans of His Own Urine https://www.widewall[...] 2022-03-28
[5] 웹사이트 Sotheby's, asta record per "merda d'artista" https://www.repubbli[...] 2022-05-17
[6] 웹사이트 Record per "Merda d'Artista" di Manzoni: 275mila euro per la scatoletta n. 69 http://www.lastampa.[...] 2017-02-20
[7] 간행물 Excremental Value http://www.tate.org.[...] 2014-05-02
[8] 웹사이트 Merde d'artiste: not exactly what it says on the tin https://www.theguard[...] 2014-05-02
[9] 학위논문 The Anal Aesthetic: Regressive Narrative Strategies in Modernism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0] 웹사이트 Opening the Can: Boîte ouverte de Piero Manzoni https://beachpackagi[...] 2022-05-17
[11] 웹사이트 Museum sur over lorteudtalelse http://jyllands-post[...] 2014-05-02
[12] 서적 Piero Manzoni: Catalogue raisonné
[13] 서적 The Art Instinct: Beauty, Pleasure, and Human Evolu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07-01
[14] 서적 Work Ethic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15] 저널 Excremental Value http://www.tate.org.[...] 2007-05-01
[16] 뉴스 Sotheby's, asta record per "merda d'artista" http://www.repubblic[...]
[17] 웹인용 Record per “Merda d’Artista” di Manzoni: 275mila euro per la scatoletta n. 69 http://www.lastampa.[...] 2017-02-20
[18] 웹인용 Merde d'artiste: not exactly what it says on the tin https://www.theguard[...] 2007-06-12
[19] 학위논문 The Anal Aesthetic: Regressive Narrative Strategies in Modernism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 웹인용 Museum sur over lorteudtalelse http://jyllands-post[...] 2014-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